피천득님의 수필 <수필>에 이런 구절이 나온다.
‘마음의 여유가 없이 수필을 못 쓰는 것은 슬픈 일이다.
때로는 억지로 마음의 여유를 가지려 하다가
그런 여유를 갖는 것이 죄스러운 것 같기도 하여……’
문득 머리를 스쳐간 여유가 나의 지난 이야기들을 책장 속에
남겨 놓았다. 그들은 때로는 시(時)로, 일기(日記)로,
혹은 사진(寫眞)으로 나의 시선을 외면한 채 태연히 그 자리를
지키고 있었다. 그들은 앞에선 나의 시선에 화들짝 놀라며
이야기들을 늘어놓았다. 어둡고, 흐릿하고, 장황한 이야기들…
[수필]展 은 나의 독백이다.
In an essay of Pi Choen Deuk, ,there is a passage like following.
‘It is sad not to write an essay because of lack of calmness.
Sometime I try to be easy forcibly, but being easy seems sorry…”
Flashing across my mind on calmness made my past stories fill in
the pages. Calmness fills in pages as the shape of a poem and a diary
or the shape of a photograph averting my eyes. Being easy is
surprised at my eyes and begins to tell the stories. Dark, blurred and
tedious stories…
[Essay] exhibition is my monologue.